무과금의 자존심 – And... I... am... Ironman! 게임, GAME

어벤져스 엔드게임의 명장면. 지금까지 나온 모든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들 중에서 이 장면만큼 인상적인 장면은 없었다.


난 필연적인 존재다라고 말하는 타노스에게 “그래? 난 아이언맨이야, 색히야!”라는 뭔가 패기 넘치는 대사라고 할까?



마블 퓨처 파이트를 하게 된 이유도, 피규어를 사는 것에 전혀 관심이 없던 내게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펼친 마크 43을 써볼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었다.

닥터 스트레인지, 샤론 로저스, 매그니토, 진 그레이, 스칼렛 위치 등 초강캐들이 즐비한 블래스트 진영에서도 저 위의 초강캐들보단 MCU에서 자주 봐서 친근한 아이언맨을 더 열심히 쓰는 게 내 취향이라... 지금도 아이언맨은 주력이다.




이런 식으로 말이지.

3티어 타노스, 3티어 캡틴 아메리카, 3티어 아이언맨으로 덱을 꾸려놓은 상태. 진정한 최강팀은 3티어 타노스, 3티어 닥터 스트레인지, 3티어 샤론 로저스지만... 그냥 취향이다. 취향.


아이언맨(Iron Man)

타입: 블래스트
종족: 인간
성별: 남성
진영: 영웅
최초등급: 1성
실명: 앤서니 에드워드 “토니” 스타크
신장: 185cm(스타크), 198cm(아이언맨)
체중: 102kg(스타크), 192.8kg(아이언맨)

상처 입은 채로 적들에게 생포당해 강제적으로 무기를 개발해야 하는 신세가 됐던 억만장자 토니 스타크는 적들을 위해 무기를 만드는 대신, 자신의 생명을 구하고 위기에서 탈출하기 위해 고도의 기술과 지식을 동원하여 슈트를 만들어냅니다. 구사일생으로 위기에서 벗어나 삶을 새로운 시각으로 보게 된 토니는, 아이언맨으로서 세계를 더 안전하고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자신의 재산과 지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SAGA가 보유한 아이언맨 스탯
3티어 달성, 레벨 70

물리 공격력 15819(+9462)
물리 방어력 12694(+6209)
에너지 공격력 31932(+21316)
에너지 방어력 16385(+8535)
생명력 40026(+16708)
공격 속도 101.62%(+1.62)
치명타율 39.35%(+30.35%)
치명타 피해율 137.62%(14.62%)


ISO-8 세트: 매의 눈


마퓨파 최고의 유니폼 부자가 아이언맨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사실 최고 유니폼 부자는 캡틴 아메리카다. 아이언맨은 기본 유니폼 외에 주어진 유니폼은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시크릿워즈: 2099,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어벤져스: 엔드게임, 팀 슈트, 어벤져스 3099까지 7개가 전부다. 유니폼만 대충 10개 정도 되는 캡틴 아메리카와 비교할 게 못 된다.


부자 주제에 7개 뿐인 아이언맨의 유니폼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아이언맨 슈트 MK.43) 
유니폼 착용 효과-발동 확률: 피격 시 25% 확률, 에너지 공격력의 66% 물리 피해, 재사용 대기시간 5초 


영화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에서 토니 스타크가 초~중반 착용하는 마크 43 슈트.
유니폼 효과는 하늘에서 레이저가 한 줄기 떨어지는 건데, 나름 쏠쏠한 데미지를 뽑아내지만, 이동기가 많은 적에겐 도저히 맞질 않는다는 거. 사실 이 유니폼에 혹해서 마퓨파에 빠졌다는 슬픈 현실이 있지...
유니폼 가격은 점차 하락하더니 지금은 마퓨파 처음 다운 받으면 그냥 주는 수준이 됐다고 한다.



시크릿 워즈: 2099
유니폼 착용 효과-집중 포화 스킬의 탄환 개수 증가


100년 후의 미래라는 시크릿 워즈의 한 평행세계, 시크릿 워즈: 2099에서 토니 스타크의 후손이 입고 다니는 슈트다.
외눈박이에 손가락이 3개라는 특이한 디자인에, 하늘을 날아다니지 않는 모션이라서 바로 안 샀다. 내가 보유한 아이언맨 유니폼 중에 팀 슈트와 함께 가지고 있지 않은 유이한 유니폼이다.
근데 성능은 좋다고 하더군. 평타가 굉장한 수준이라고 하는데... 어쨌든 안 예뻐! 그래서 안 샀음!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아이언맨 슈트 MK.46)
유니폼 착용 효과-집중 포화 스킬의 탄환 개수 증가


간단하게 말하면 에이지 오브 울트론의 디자인과 시크릿 워즈:2099의 성능을 합친 유니폼. 평타 외엔 모든 성능이 2099를 능가한다. 거기다 스킬도 변경이 됐는데 리펄서 블래스트가 그냥 빔만 발사하는 모션이 아닌 주먹으로 한 대 치고 리펄서 빔을 쏘는 걸로, 리펄서 커터는 불시착이라는 회피기로 변경돼, 아이언맨의 안정성에 크게 기여했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아이언맨 슈트 MK.50)
유니폼 착용 효과-최대 생명력의 50% 쉴드 생성, 매 1초마다 3%만큼 쉴드 재생, 일반 쉴드의 10% 흡수, 슈퍼 아머, 모든 방어력 +5% 상승(1초), 정교한 조준 스킬의 효과 강화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에서 토니가 입고 나온 마크 50을 기반으로 출시된 유니폼. 기존 아이언맨 스킬 전부를 새로 갈아엎었다. 스킬을 갈아엎은 건 좋은데 스킬 모션들이 영화상의 모습보다는 인피니티 워 컨셉아트를 참고한 듯한 모습이다. 5성기는 영화상에 구현되지 않았고, 6성기는 초반에 잠깐 나오지만 영화상의 모습과 많이 다르다.
6성기의 폭딜과 함께 2성, 3성, 5성기에 지속 딜링이 있어 공격력이 엄청난 수준으로 올라갔다.

다만, 시빌 워 유니폼에 타켓팅 무시가 달린 스킬이 3개나 있지만, 인피니티 워 유니폼에는 타겟팅 무시가 3성기에만 달려있어 안정성이 떨어진다. 6성기에 피해면역이 달려있지만 스킬 시전 시간이 길어서 안전하게 딜을 넣을 수 있다는 거 외엔 의미가 없다.
그냥 내가 죽기 전에 널 죽여줄게! 라는 느낌으로 쓰는 유니폼이랄까? 이건 모 천둥신과 똑같네...
이 유니폼이 나왔을 때쯤 3티어 승급을 했는데, 아이언맨 3티어 스킬인 ‘하우스파티 프로토콜’이 정말... 어이가 없을 정도로 데미지가 형편없어서 진지하게 ‘아이언맨을 버려야하나’를 고민할 정도였다.


어벤져스: 엔드 게임(아이언맨 슈트 MK.85)
유니폼 착용 효과-최대 생명력의 50% 쉴드 생성, 매 1초마다 5%만큼 쉴드 재생, 일반 쉴드의 10% 흡수, 슈퍼 아머, 모든 방어력 +20% 상승(1초), 정교한 조준 스킬의 효과 강화

어벤져스: 엔드게임에 나온 유니폼으로, 기존 슬림한 디자인의 유니폼에 비해 체격이 우람해졌다.
처음 나왔을 때는 인피니티 워 유니폼의 스킬을 그대로 들고 나와서-양심은 있었는지 살짝 고치긴 했더라- 욕을 바가지로 얻어먹었다.
MCU에 나온 아이언맨 최후의 슈트라는 상징성도 있고, 유저들의 욕을 푸짐하게 먹어서 그런지, 1, 2성 스킬을 제외한 나머지 스킬들을 죄다 수정해서 나왔다.​

3성 스킬과 5성 스킬은 각각 토르, 페퍼와 연계기로 바뀌었고, 6성기는 내가 위에서 명장면으로 꼽은 “나 아이언맨이야! 색히야!”로 바뀌어서 굉장히 마음에 든다.
특히 3티어 스킬도 바뀌었는데, 이전 하우스파티 프로토콜에 비해 환골탈태 수준이지만 다른 3티어 캐릭터들의 스킬에 비하면 아직 부족하다.


팀 슈트
유니폼 착용 효과-최대 생명력의 25% 쉴드 생성, 매 1초마다 10%만큼 쉴드 재생, 일반 쉴드의 30% 흡수, 슈퍼 아머, 모든 방어력 +20% 상승(1초)


이거 영화상에 등장 안한 슈트다. 엔드게임에서 로디는 워머신 슈트 위에 양자역학 슈트를 입었는데, 토니는 그냥 맨몸 위에 입었지 않은가? 토니가 입지도 않은 슈트를 내가 왜... 이거 엔드게임 컨셉 아트보고 대충 만든 거 같다.


어벤져스 3099
유니폼 착용 효과-최대 생명력의 25% 쉴드 생성, 매 1초마다 10%만큼 쉴드 재생, 일반 쉴드의 30% 흡수, 슈퍼 아머, 모든 방어력 +20% 상승(1초)

스토리 패치 이후 생긴 아이언맨의 신 유니폼인데 간지나는 망토와 뭔가 있어 보이는 슈트 때문에 외형은 간지나는 편. 다른 유니폼들과 달리 수정을 통해 얻기 보단 스토리 모드를 클리어하면 얻을 수 있다.
스킬이 달라졌지만, 성능 자체는 엔드게임 유니폼만 못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고 있다.


아이언맨 스킬

리더 스킬 - 천재의 지휘
적용 효과: 모든 팀원 영웅에 스킬 쿨타임 4%(6성 24%) 감소

평타보단 스킬 위주로 전투를 하기 때문에 스킬 쿨타임 감소라는 아이언맨의 리더 스킬은 수많은 리더 스킬 중에서 상위 급에 드는 스킬이다.
마퓨파를 처음 했을 때 아이언맨을 무조건 리더로 놓았던 이유가 모든 스킬이 개방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전투를 유리하게 이끄려면 스킬 쿨타임 감소와 적절한 컨트롤뿐이었으니까... 하아, 그땐 정말 힘들었지...
시빌워 유니폼까진 그저 그런 스킬들만 가지고 있던 아이언맨이 인피니티 워에 나온 마크 50 유니폼으로 강력한 딜이 가능해지면서 사실 이 리더 스킬이 별로 필요 없어졌다. 그전엔 아이언맨 스킬 계수들이 구제불능 수준이어서 스킬을 한번이라도 더 치는 게 이득이었다면 인피니티 워 유니폼부터는 강력하게 딜을 칠 수 있어서 스킬의 빠른 수급은 별로...


1성 액티브 스킬 - 리펄서 블래스트, 트윈 블레이드, 플라즈마 슬래쉬




클래식,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 리펄서 블래스트
​에너지 공격력의 102%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146, 가드 브레이크

MCU의 아이언맨하면 생각나는 리펄서 빔을 쏘는 스킬. 아이언맨 기본 평타가 리펄서 빔을 쏘는 거여서-가까이 있으면 펀치와 니킥을 날린다-클래식 유니폼, 에이지 오브 울트론은 그냥 위이잉하는 효과음과 함께 쏘는데 그놈의 선딜 때문에 확실하다 싶지 않은 순간에 쏘면 오히려 두들겨 맞는다. 가드 브레이크를 걸 수 있긴 하지만 그래봐야...


시크릿 워즈:2099,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 리펄서 블래스트
에너지 공격력의 102%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146, 가드 브레이크

2099와 시빌 워 유니폼을 입으면 워 머신의 아머드 클래시처럼 돌진해 주먹으로 한 번 내려친 후에 재빠르게 리펄서 빔을 쏘는 2대짜리 스킬로 바뀐다. 시전 속도가 빠르고 주먹으로 내리쳐는 동작에 가드 브레이크가 달려 있어서 나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 트윈 블레이드
매 1초마다 30% 추가 출혈 피해. 탄성을 제거한다(3초), 에너지 공격력의 131%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146

인피니티 워 유니폼을 입으면 바뀌는 트윈 블레이드로 바뀌는데, 아마 뉴욕에서 에보니 모를 공격하려고 할 때랑  타이탄 전투에서 타노스와 싸울 때 사용한 에너지 소드를 꺼내는 걸 보고 만든 거 같다. 6회 타격에 출혈 피해를 주긴 하지만 그 외엔 부가 효과가 없다. 리펄서 블래스트의 상징이나 다름 없던 가드 브레이크까지 없다니... 타겟팅 무시도 없어 그냥 안 썼다. 안정성이 너무 떨어져.



어벤져스: 엔드게임 - 트윈 블레이드 
매 1초마다 30% 추가 출혈 피해. 탄성을 제거한다(3초), 에너지 공격력의 131%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146, 타겟팅 무시,

잔상을 남기면서 적을 공격하고 타켓팅 무시가 달려 있어 아이언맨의 안정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 스킬. 인피니티 워 유니폼 때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지만, 엔드게임 유니폼에서는 자주 사용하고 있다.


어벤져스: 3099 – 플라즈마 슬래쉬
에너지 공격력의 160%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547

​인피니티 워나 엔드게임의 트윈 블레이드처럼 양 손에 칼을 빼들고 적을 마구잡이로 베는데, 베고 난 다음 바닥에 십자 모양의 흔적이 남고, 거기서 폭발이 일어난다.


2성 액티브 스킬 - 리펄서 커터, 불시착, 에너지 칼날, 고속 베기





클래식,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 리펄서 커터
에너지 공격력의 92%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146




시크릿 워즈: 2099
 
에너지 공격력의 102%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146

뒤로 물러나며 주변 부채꼴 범위로 빔을 쏘는 광역기지만 데미지가 심각한 수준으로 부족하다. 그래서 주력으로 쓰기 보단 후퇴기로 쓰고 도망치는 용도로만 썼다.
2099 유니폼을 입으면 스킬 계수만 10% 오르고 모션 변화는 없다.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 불시착
에너지 공격력의 184% 물리 피해, 추가 물리 피해 146, 가드 브레이크, 타겟팅 무시

공중으로 솟구쳤다가 적들 위로 낙하하며 찍어내리는 스킬로, 아이언맨이 영화상에서 보여준 수많은 슈퍼히어로 착지에서 모티브를 삼은 스킬인 듯 하다.
처음 봤을 땐 자살기 아니냐고 생각했는데, 스킬 시작부터 무적 판정이 있고, 타격범위가 생각보다 넓다. 적 바로 뒤에 떨어지면서 바로 결정적 한 방이나 리펄서 블래스트와 연결되기 때문에 꽤 쓸만한 스킬이었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어벤져스: 엔드게임, 팀 슈트 - 에너지 칼날
에너지 공격력의 55%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73


두 개의 에너지 칼날을 날리는 스킬인데, 오딘의 1성기처럼 맵 끝까지 날아간다.



어벤져스: 3099 – 고속 베기
에너지 공격력의 98%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137

덤블링을 몇 번 하면서 트윈 블레이드 스킬처럼 검으로 적을 마구 베는데... 개인적으로 봉산탈춤이라고 부르고 있다. 원거리 딜러인 아이언맨이 왜 근접전 전용 캐릭이 된 거냐? 토니가 마사키냐?


3성 액티브 스킬 - 유니 빔, 화력 집중, 오버드라이브 빔, 개틀링 빔



클래식,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시크릿 워즈: 2099,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 유니 빔

5히트 수의 피해를 가드(3초), 에너지 공격력의 49%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30

처음 아이언맨을 했을 때 딜 안나오는 리펄서 블래스트와 커터만으로 낑낑대던 내게 한 줄기 빛이 되는 줄 알았으나, 실상은 쓰레기였던 스킬. 가슴의 아크 리액터에서 굵은 빔을 쏘는 스킬인데... 암전 모션과 선, 후딜 모두 달려있는 어이없는 스킬이었다. 이거 쓰다가 두들겨 맞고 비명횡사한 적이 한 두 번이 아니었다.
나중에 업데이트 때 암전효과가 사라지고 날고 있는 상태에서 바로 발사하는데다가, 고정 위치 발사가 아닌 추적형으로 바뀌었다. 게다가 유니빔 발사 시 살짝 뒤로 밀려나고 배리어 효과가 생겨서 생존력도 강화됐다는 게 그나마 다행이었지.
2099 유니폼을 착용하면 유니 빔이 아닌 양 손 그리고 안면의 리펄서 건 추진기에서 3개의 빔 줄기를 쏘는 스킬로 변한다. 2099 유니폼은 설정상 왜소한 신장인 토니의 후손이 슈트의 몸통 부위에 들어가서 조종하기 때문에 슈트의 머리 부분은 그냥 기계장치이기 때문에 저런 거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 화력 집중
매 1초마다 30% 추가 화상 피해(3초), 시전자의 능력치 120%를 가지는 소환물을 소환(10초), 에너지 공격력의 53% 물리 피해, 추가 물리 피해 30, 스킬을 사용하는 동안 가상패드로 이동이 가능, 타겟팅 무시

인피니티 워 유니폼의 유일한 타겟팅 무시 스킬. 고속으로 날아다니며 십자 모양의 폭탄 로봇을 뿌리고 레이저를 발사하는 기계 3기를 소환한다.



어벤져스: 엔드게임, 팀 슈트 - 오버드라이브 빔
최대 생명력의 15% 쉴드 생성(1초), 슈퍼 빌런 타입에게 주는 피해량 30% 상승(7초), 에너지 공격력의 105%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49

영화상에서 타노스와 최종 결전 때 보인 토르와의 연계기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것 같다. 뚱보 토르가 나타나 등에 달린 에너지 충전 장치에 번개를 쏘면 그대로 리펄서 레이저 다발을 쏘는 스킬이다. 토르가 등장할 때와 떠날 때 마무리로 범위 공격을 해준다.



어벤져스: 3099 – 개틀링 빔
6하트 수의 피해를 가드(3초), 에너지 공격력의 88%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110

양 손에 괴상한 개틀링이 생기더니 적들에게 연사를 갈기는 스킬.


4성 패시브 스킬 – 정교한 조준

클래식,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시크릿 워즈: 2099,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 정교한 조준
에너지 공격력의 +5% 상승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어벤져스: 엔드게임, 팀 슈트, 어벤져스: 3099 – 정교한 조준
에너지 공격력의 +15% 상승


가뜩이나 스킬 계수가 딸리는 아이언맨에게 필요한 패시브 스킬. 인피니티 워 유니폼부터 상승 수치가 15%로 증가한다.



5성 액티브 스킬 – 집중 포화, 제트 모드, 스타크 싱크 스페셜, 홀로그램 어택


클래식,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 집중 포화
기절(3초), 에너지 공격력의 18% 물리 피해, 추가 물리 피해 21, 가드 브레이크, 타겟팅 무시


시크릿 워즈: 2099,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 집중포화
기절(3초), 에너지 공격력의 18% 물리 피해, 추가 물리 피해 21, 가드 브레이크, 타겟팅 무시

아이언맨이 등장하는 영화들마다 등장했던, 어깨에서 소형 탄환을 발사하는 스킬인데, 원래 이 스킬의 모션은 미사일을 발사하는 거였다. 선딜이 거의 없고, 시전 거리가 꽤 긴데다, 타켓에 유도되기 때문에 나름 쏠쏠하게 잘 써먹었다.

그러다 업데이트를 통해 스킬 모션이 바뀌었는데, 제자리에서 미사일을 날리던 모션이 뒤로 한 바퀴 돌고 전방으로 날아가며 미사일을 흩뿌리는 식으로 바뀌었다. 마지막에 불시착으로 내리 찍는 건 덤. 당연한 소리겠지만 나는 동안에는 타켓팅 무시가 되고, 불시착은 기절을 걸어준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 제트 모드
에너지 공격력의 102% 물리 피해, 추가 물리 피해 73, 스킬을 사용하는 동안 가상패드로 이동이 가능

영화상에는 등장하지 않고, 오직 컨셉 아트에만 나왔던 마크 50의 기능 중 하나를 스킬로 만든 듯 하다.



이거 영화 어디서 나온 거지’라고 했다가 이거 보고 이해했다.


제트기처럼 변한 아이언맨이 적에게 돌진하는데, 가상 패드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 지나간 자리에는 에너지 장판이 남는데 적이 여기 위에 올라서면 데미지를 준다. 근데 단점은 이거 타겟팅 무시 그런 거 없다. 빌어먹을...



어벤져스: 엔드게임, 팀 슈트 - 스타크 싱크 스페셜
모든 방어력의 –10% 감소(최대 -30%까지 중첩, 면역 효과 무시)(10초), 최대 생명력의 30% 회복, 에너지 공격력의 75%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73, 타겟팅 무시

처음에는 기존 제트모드에서 방어력 감소 효과가 있는 미사일을 추가로 발사하는 정도였는데, 이걸 영화상에 나온 레스큐와 함께 연계하는 공격기술로 바꿨다. 타겟팅 무시와 자체 회복이 생겨 아이언맨의 안정성에 크게 기여하게 됐다. 덕분에 내 아이언맨 주력 유니폼이 엔드게임이 됐다.




어벤져스: 3099 – 홀로그램 어택
에너지 공격력의 90%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157

​잔상을 남기며 많은 적을 베어버리는 기술인데... 개인적으로 봉산탈춤 마크2라고 부른다.



6성 액티브 스킬 – 결정적 한 방, 화력 집중, 오버드라이브 빔, 연쇄 폭발



클래식,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시크릿 워즈: 2099,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 결정적 한 방
90% 확률로 슈퍼 아머, 배리어 효과 관통(5초), 에너지 공격력의 156%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37, 타겟팅 무시

아이언맨 2에서 해머 드론들을 한 번에 잘라내 버렸던 제자리 회전 레이저 발사를 스킬로 구현한 것.
꽤 괜찮은 딜을 자랑하는 스킬이지만 이상할 정도로 헛치는 경우가 좀 있고, 선·후딜이 있어 쓰다가 꽤 두들겨 맞는다. 시빌 워 유니폼을 입고 불시착과 함께 연계해서 쓰면 쉽게 풀히트를 꽂을 수 있지만 자칫하면 죽을 수 있다.

이후 업데이트에서 타겟팅 무시가 생기고, 일정 확률로 5초 동안 슈퍼아머와 배리어 관통 효과가 부여되서, 그럭저럭 쓸만해졌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 아이언 캐논
100% 확률로 모든 피해에 면역(3초), 에너지 공격력의 260%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49

영화에서 컬 옵시디언에게 사용한 그 기술을 가져왔는데 묘하게 다르다. 영화상의 모습보다는 인피니티 워 컨셉아트에서 가져왔다고 하는 게 정확한 표현인 듯.


사실 이거랑 더 닮았잖아.


시전 시 피해 면역과 더불어 스킬 계수로 하면 3000% 이상의 폭딜을 꽂아버릴 수 있는 스킬. 이 스킬 덕분에 아이언맨 인피니티 워 유니폼은 내게 토르랑 동급이 됐다. 나 죽기 전에 쟤 죽인다...라는 느낌?




어벤져스: 엔드게임, 팀 슈트 - 나노 건틀렛
매 1초마다 30% 추가 애쉬 피해, 최대 10회 중첩(최대 300% 추가 피해)(7초), 타임 프리징(3초) 100% 확률로 모든 피해에 면역(3초), 에너지 공격력의 150%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30

엔드게임에 나온 아이언맨의 핑거 스냅을 그대로 구현했다. 인피니티 건틀렛을 이용한 핑거 스냅은 타노스의 아이덴티티라고 생각했는데, 정작 타노스는 이런 모션의 스킬 없다.

스킬 모션은 나노 건틀렛을 착용해 주변의 적들을 끌어 모은 후 핑거 스냅을 하는데, 적에게 타임 프리징과 애쉬 피해를 건다. 애쉬 피해는 핑거 스냅의 영향으로 가루가 되어 사라지는 것을 구현한 것으로 보인다. 


팀 슈트 캡쳐가 없으니 이걸로 대체...




어벤져스: 3099 – 연쇄 폭발
모든 공격력 +25%, 모든 속도 +1%, 치명타율 +25% 상승, 무력화를 제거한다(6초), 100% 확률로 모든 피해 면역(3초), 에너지 공격력의 25%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219


아이언맨이 공중에 떠오르더니 지뢰 비슷한 무언가를 소호나하고 몇 초 있다가 소환한 전부 폭발하는 형식의 스킬. 근데 이거 맞을 사람 있냐? 인공지능이니까 맞지...



2티어 패시브 스킬 – 회피 기동
스킬 피해량의 42% 상승, 추가 피해량의 30% 상승

딜 더럽게 안 나왔던 아이언맨의 스킬 계수를 상승시키는 패시브 스킬인데... 2티어가 나왔을 때 당시 아이언맨은 정말! 더럽게! 써먹기 힘든 캐릭터였다. 업데이트를 통해 아이언맨 스킬이 전부 개선되면서 데미지가 그럭저럭 체감할 정도로 올라갔고, 인피니티 워 유니폼이 나오면서 좋은 패시브였군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가 됐다.

아이언맨이 2티어 됐을 때 유니폼이 개선하기 전 시빌 워 유니폼이었으니...


3티어 액티브 스킬 - 하우스 파티 프로토콜





클래식,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시크릿 워즈: 2099,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모든 방어력의 –20% 감소(3초), 기절(3초), 시전자의 능력치 60%를 가지는 소환물을 소환(10초), 무적(5초), 15% 방어력을 무시(5초), 80% 확률로 슈퍼 아머, 배리어, 쉴드, 모든 피해 면역, 무적 효과 관통(3초), 에너지 공격력의 200%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146


어벤져스: 엔드게임, 팀 슈트, 어벤져스: 3099
무적(5초), 1회의 피해량 80% 상승(5초), 80% 확률로 슈퍼 아머, 배리어, 쉴드, 모든 피해 면역, 무적 효과 관통(5초), 30% 방어력을 무시(5초), 에너지 공격력의 200% 에너지 피해, 추가 에너지 피해 73

아이언맨 유니폼이 쌓여가면서 아이언맨3에 나온 하우스 파티 프로토콜이 나올 법도 한데 안나오네...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3티어 스3티어 스킬로 나오다니...


인피니티 워 유니폼이 등장했을 때 아이언맨이 3티어가 되어서 이 스킬을 써봤는데... 일단 그동안 나온 아이언맨 유니폼들, 클래식, 에이지 오브 울트론, 2099, 시빌 워 유니폼들이 모조리 나와서 각자 정해진 스킬을 한 번씩 쓴 후 슈트들이 소환수로 남는다.


아이언맨3의 하우스 파티 프로토콜을 그대로 가져온 거 같은데, 30개가 넘는 아이언맨 슈트가 몰려나왔던 영화와는 다르게, 딱 4개 나온다...


소환수로 남은 슈트들은 스킬 공격은 안하고 평타 짤짤이나 해대니... 딜은 또 딜대로 안 나와... 아오, 짜증나!

욕 좀 푸짐하게 먹었는지 엔드게임 유니폼이 나왔을 때 3티어 스킬이 바뀌었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에서 타노스와 싸울 때 아이언맨이 썼던 파일드라이버로 한 번 때리고 아이언캐논으로 변형, 다른 유니폼 4체를 소환한 뒤 한꺼번에 빔을 날린다. 딜량은 괜찮지만 이거 헛칠 때가 가끔 있다...




어쨌든 마퓨파를 처음 했을 때부터 나름 애정을 가지고 키우던 캐릭터라, 고질적인 딜 부족에 시달려도 끝까지 키우고 있다.

자체 회복이 가능하고, 3티어 스킬이 꽤 나름 괜찮은 딜을 자랑하는 엔드게임 유니폼 덕분에 그나마 굴릴 수 있다는 게 다행이랄까? 



근데 블래스트 진영은 닥터 스트레인지나 샤론 로저스, 진 그레이, 스칼렛 위치가 훨씬 좋...